2020 도쿄 올림픽/축구(남자)/지역예선

덤프버전 : (♥ 0)

||



1. 개요
2. 출전권 배당
3. 지역별 예선
3.1. 유럽 예선
3.2. 오세아니아 예선
3.3. 아프리카 예선
3.4. 아시아 예선
3.5. 남미 예선
3.6. 북중미 예선
3.7. 팀별 본선 확정일
4. 총평
4.1. 유럽 예선
4.2. 오세아니아 예선
4.3. 아프리카 예선
4.4. 아시아 예선
4.5. 남미 예선
4.6. 북중미 예선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2020 도쿄 올림픽축구 종목 중 남자축구의 지역별 예선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출전권 배당[편집]


대륙출전권 수(16개국)지역 예선비고
개최국(일본)1-
남미22020 CONMEBOL 올림픽 남자축구 예선
북중미카리브22020 CONCACAF 올림픽 남자축구 예선
아시아3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예선 대체
아프리카32019 U-2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예선 대체
오세아니아12019 OFC 올림픽 남자축구 예선
유럽42019 UEFA U-21 챔피언십예선 대체
합계16

  • 별도의 예선 없이 대륙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연령별 대회 성적에 따라 올림픽 출전권 부여
    • 아시아 축구 연맹: 3개국(대회 결승전 진출 국가 2개국과 별도의 3·4위전을 통해 준결승전에서 탈락한 국가 중 1개국에 올림픽 출전권 부여)
    • 아프리카 축구 연맹: 3개국(대회 결승전 진출 국가 2개국과 별도의 3·4위전을 통해 준결승전에서 탈락한 국가 중 1개국에 올림픽 출전권 부여)
    • 유럽 축구 연맹: 4개국(대회 준결승전 진출 국가 4개국 모두에게 올림픽 출전권 부여)

  • 별도의 예선을 통해 올림픽 출전권 부여
    • 남미 축구 연맹: 2개국(조별리그와 결선리그를 거쳐 대회 우승국과 준우승국에게 올림픽 출전권 부여)
    •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2개국(대회 결승전 진출 국가 2개국에 올림픽 출전권 부여)
    •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1개국(대회 우승국에게 올림픽 출전권 부여)[1]

3. 지역별 예선[편집]



3.1. 유럽 예선[편집]


  • 밑줄은 올림픽 본선 진출을 확정한 것을 의미한다.
대회2019 UEFA U-21 챔피언십
일시2019년 6월 16일 ~ 6월 30일
개최이탈리아, 산마리노
예선 통과스페인(우승), 독일(준우승), 루마니아, 프랑스(이상 4강 진출)

  • A조: 골득실 차이로 스페인이 1위로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스페인 국기.svg스페인(ESP)320184+46준결승전 진출
2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ITA)320163+36조 2위간 경합
3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POL)320147-36탈락
4파일:벨기에 국기.svg벨기에(BEL)300348-40

경기일 (현지시각)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19. 06. 16. 18:30POL3:2BEL마페이 스타디움
2019. 06. 16. 21:00ITA3:1ESP스타디오 레나토 달라라
2019. 06. 19. 18:30ESP2:1BEL마페이 스타디움
2019. 06. 19. 21:00ITA0:1POL스타디오 레나토 달라라
2020. 06. 22. 21:00BEL1:3ITA마페이 스타디움
ESP5:0POL스타디오 레나토 달라라

  • B조: 독일이 1위로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독일 국기.svg독일(GER)3210103+77준결승전 진출
2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DEN)320164+26조 2위간 경합
3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오스트리아(AUT)31114404탈락
4파일:세르비아 국기.svg세르비아(SRB)3003110-90

경기일 (현지시각)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19. 06. 17. 18:30SRB0:2AUT스타디오 네레오 로코
2019. 06. 17. 21:00GER3:1DEN스타디오 프리울리
2019. 06. 20. 18:30DEN3:1AUT스타디오 프리울리
2019. 06. 20. 21:00GER6:1SRB스타디오 네레오 로코
2019. 06. 23. 21:00AUT1:1GER스타디오 프리울리
DEN2:0SRB스타디오 네레오 로코

  • C조: 루마니아가 1위로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루마니아 국기.svg루마니아(ROU)321083+57준결승전 진출
2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FRA)321031+27조 2위간 경합
3파일:잉글랜드 국기.svg잉글랜드(ENG)301269-31탈락
4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크로아티아(CRO)301248-41

경기일 (현지시각)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19. 06. 18. 18:30ROU4:1CRO스타디오 올림피코
2019. 06. 18. 21:00ENG1:2FRA스타디오 디노 마누치
2019. 06. 21. 18:30ENG2:4ROU스타디오 디노 마누치
2019. 06. 21. 21:00FRA1:0CRO스타디오 올림피코
2019. 06. 24. 21:00CRO3:3ENG스타디오 올림피코
FRA0:0ROU스타디오 디노 마누치

  • 조 2위 서열: 프랑스가 준결승전에 진출하였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FRA)321031+27
2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ITA)320163+36
3파일:덴마크 국기.svg덴마크(DEN)320164+26

  • 토너먼트
준결승전결승전
4강 1경기
파일:독일 국기.svg GER 4:2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ROU
결승전
파일:스페인 국기.svg ESP 2:1 파일:독일 국기.svg GER
4강 2경기
파일:스페인 국기.svg ESP 4:1 파일:프랑스 국기.svg FRA

3.2. 오세아니아 예선[편집]


  • 밑줄은 올림픽 본선 진출을 확정한 것을 의미한다.
대회2019 OFC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
일시2019년 9월 21일 ~ 10월 5일
개최피지
예선 통과뉴질랜드(우승)

  • A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뉴질랜드 국기.svg뉴질랜드(NZL)3300223+199
2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솔로몬 제도(SOL)3201134+96
3파일:사모아 국기.svg사모아(SAM)3102611-53
4파일:미국령 사모아 기.svg미국령 사모아(ASA)3003023-230

경기일 (현지시각)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19. 09. 21. 12:00SOL6:0ASAANZ 국립 경기장
2019. 09. 21. 15:00SAM1:6NZL
2019. 09. 24. 12:00SAM0:5SOL
2019. 09. 24. 15:00NZL12:0ASA
2020. 09. 27. 15:00ASA0:5SAM
2020. 09. 27. 18:00NZL4:2SOL

  • B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바누아투 국기.svg바누아투(VAN)3300121+119
2파일:피지 국기.svg피지(FIJ)320173+46
3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파푸아뉴기니(PNG)310287+13
4파일:통가 국기.svg통가(TGA)3003218-160

경기일 (현지시각)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19. 09. 21. 12:00VAN3:1PNG처칠 파크
2019. 09. 21. 15:00TGA1:4FIJ
2019. 09. 24. 12:00TGA0:8VAN
2019. 09. 24. 15:00FIJ3:1PNG
2020. 09. 27. 15:00PNG6:1TGA
2020. 09. 27. 18:00FIJ0:1VAN

  • 토너먼트: 뉴질랜드우승하였다.
준결승전3위 결정전 / 결승전
4강 1경기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NZL 6:1 파일:피지 국기.svg FIJ
3위 결정전
파일:피지 국기.svg FIJ 0:1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VAN
4강 2경기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VAN 0:1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SOL
결승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NZL 5:0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SOL

3.3. 아프리카 예선[편집]


  • 밑줄은 올림픽 본선 진출을 확정한 것을 의미한다.
대회2019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일시2019년 11월 8일 ~ 11월 22일
개최이집트
예선 통과이집트(우승), 코트디부아르(준우승), 남아프리카 공화국(3위)

  • A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EGY)330063+39
2파일:가나 국기.svg가나(GHA)311154+14
3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CMR)31113304
4파일:말리 국기.svg말리(MLI)300304-40

경기일 (현지시각)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19. 11. 08. 19:00EGY1:0MLI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2019. 11. 08. 22:00CMR1:1GHA
2019. 11. 11. 17:00MLI0:1CMR
2019. 11. 11. 20:00GHA2:3EGY
2020. 11. 14. 20:00EGY2:1CMR
MLI0:2GHA알 살람 스타디움

  • B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코트디부아르(CIV)320121+16
2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공(RSA)312010+15
3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NGA)311132+14
4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ZAM)301214-31

경기일 (현지시각)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19. 11. 09. 19:00NGA0:1CIV알 살람 스타디움
2019. 11. 09. 22:00RSA0:0ZAM
2019. 11. 12. 17:00CIV0:1RSA
2019. 11. 12. 20:00ZAM1:3NGA
2020. 11. 15. 20:00NGA0:0RSA
CIV1:0ZAM카이로 인터내셔널 스타디움

  • 토너먼트: 남아프리카 공화국3위를, 코트디부아르준우승을, 이집트우승을 차지하였다.
준결승전3위 결정전 / 결승전
4강 1경기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CIV 2:2 파일:가나 국기.svg GHA
(PSO 3:2)
3위 결정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RSA 2:2 파일:가나 국기.svg GHA
(PSO 6:5)
4강 2경기
파일:이집트 국기.svg EGY 3:0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RSA
결승전
파일:이집트 국기.svg EGY 2:1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CIV
(A.E.T.)


3.4. 아시아 예선[편집]


대회2020 AFC U-23 챔피언십
일시2020년 1월 8일 ~ 1월 26일
개최태국
예선 통과대한민국(우승), 사우디아라비아(준우승), 호주(3위)


3.5. 남미 예선[편집]


  • 밑줄은 올림픽 본선 진출을 확정한 것을 의미한다.
대회2020 CONMEBOL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
일시2020년 1월 18일 ~ 2월 9일
개최콜롬비아
예선 통과아르헨티나(결선리그 1위), 브라질(결선리그 2위)

  • A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ARG)440092+712
2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COL)421173+47
3파일:칠레 국기.svg칠레(CHI)421142+27
4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베네수엘라(VEN)410337-43
5파일:에콰도르 국기.svg에콰도르(ECU)400409-90

경기일 (현지시각)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0. 01. 18. 18:00ECU0:3CHI에스타디오 에르난 라미레스 빌레가스
2020. 01. 18. 20:30COL1:2ARG
2020. 01. 21. 18:00CHI1:0VEN에스타디오 센타나리오
2020. 01. 21. 20:30COL4:0ECU
2020. 01. 24. 18:00VEN1:0ECU에스타디오 에르난 라미레스 빌레가스
2020. 01. 24. 20:30CHI0:2ARG
2020. 01. 27. 18:00ARG1:0ECU
2020. 01. 27. 20:30COL2:1VEN
2020. 01. 30. 18:00VEN1:4ARG
2020. 01. 30. 20:30COL0:0CHI

  • B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BRA)4400115+612
2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URU)420256-16
3파일:볼리비아 국기.svg볼리비아(BOL)4202810-26
4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PAR)410356-13
5파일:페루 국기.svg페루(PER)410346-23

경기일 (현지시각)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0. 01. 19. 18:00URU1:0PAR에스타디오 센타나리오
2020. 01. 19. 20:30BRA1:0PER
2020. 01. 22. 18:00PAR2:0BOL에스타디오 에르난 라미레스 빌레가스
2020. 01. 22. 20:30BRA3:1URU
2020. 01. 25. 18:00BOL3:2URU에스타디오 센타나리오
2020. 01. 25. 20:30PAR2:3PER
2020. 01. 28. 18:00PER0:1URU
2020. 01. 28. 20:30BRA5:3BOL
2020. 01. 31. 18:00BOL2:1PER
2020. 01. 31. 20:30BRA2:1PAR

  • 결선리그: 브라질2위를, 아르헨티나1위를 하였다.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ARG)320156-16
2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BRA)312052+35
3파일:우루과이 국기.svg우루과이(URU)311165+14
4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COL)301236-31

경기일 (현지시각)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0. 02. 03. 18:00ARG3:2URU에스타디오 알폰소 로페스
2020. 02. 03. 20:30BRA1:1COL
2020. 02. 06. 18:00BRA1:1URU
2020. 02. 06. 20:30ARG2:1COL
2020. 02. 09. 18:00COL1:3URU
2020. 02. 09. 20:30ARG0:3BRA

3.6. 북중미 예선[편집]


  • 밑줄은 올림픽 본선 진출을 확정한 것을 의미한다.
대회2020 CONCACAF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
일시2021년 3월 18일 ~ 3월 30일[2]
개최멕시코
예선 통과멕시코(우승), 온두라스(준우승)

  • A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MEX)330081+79
2파일:미국 국기.svg미국(USA)320151+46
3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CRC)310254+13
4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도미니카 공화국(DOM)3003113-120

경기일 (현지시각)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1. 03. 18. 15:30USA1:0CRC에스타디오 할리스코
2021. 03. 18. 18:00MEX4:1DOM
2021. 03. 21. 17:00DOM0:4USA에스타디오 아크론
2021. 03. 21. 19:30CRC0:3MEX
2021. 03. 24. 17:00CRC5:0DOM에스타디오 할리스코
2021. 03. 24. 19:30MEX1:0USA

  • B조
순위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승점
1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온두라스(HON)312052+35
2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CAN)312031+25
3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엘살바도르(SLV)311134-14
4파일:아이티 국기.svg아이티(HAI)301215-41

경기일 (현지시각)홈팀결과원정팀경기장
2021. 03. 19. 15:30HON3:0HAI에스타디오 할리스코
2021. 03. 19. 18:00CAN2:0SLV
2021. 03. 22. 17:00HAI0:0CAN에스타디오 아크론
2021. 03. 22. 19:30SLV1:1HON
2021. 03. 25. 17:00SLV2:1HAI에스타디오 할리스코
2021. 03. 25. 19:30HON1:1CAN

  • 토너먼트: 온두라스준우승을, 멕시코우승하였다.
준결승전결승전
4강 1경기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HON 2:1 파일:미국 국기.svg USA
결승전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HON 1:1 파일:멕시코 국기.svg MEX
(P.S.O. 4:5)
4강 2경기
파일:멕시코 국기.svg MEX 2:0 파일:캐나다 국기.svg CAN



3.7. 팀별 본선 확정일[편집]


순서일자비고
12013-09-07일본이 도쿄에서 2020년 올림픽 개최과 확정됨에 따라 자동으로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22019-06-22스페인이 2019 UEFA U-21 챔피언십 조별리그 A조 3차전에서 조 1위로 준결승 진출을 확정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32019-06-23독일이 2019 UEFA U-21 챔피언십 조별리그 B조 3차전에서 조 1위로 준결승 진출을 확정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42019-06-24루마니아가 2019 UEFA U-21 챔피언십 조별리그 C조 3차전에서 조 1위로 준결승 진출을 확정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5프랑스가 2019 UEFA U-21 챔피업십 조별리그 각 조 2위 중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둬 준결승 진출을 확정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62019-10-05뉴질랜드가 2019 OFC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 결승전에서 승리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72019-10-19코트디부아르가 2019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준결승전에서 승부차기로 승리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8이집트가 2019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준결승전에서 승리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3]
92019-10-22남아프리카 공화국이 2019 아프리카 U-23 네이션스컵 3위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102020-01-22사우디아라비아가 2020 AFC U-23 챔피언십 준결승전에서 승리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11대한민국이 2020 AFC U-23 챔피언십 준결승전에서 승리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4]
122020-01-25호주가 2020 AFC U-23 챔피언십 3위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132020-02-06아르헨티나가 2020 CONMEBOL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 결선리그 2차전에서 잔여 경기와 상관없이 1위를 확정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142020-02-09브라질이 2020 CONMEBOL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 결선리그 3차전에서 2위를 확정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152021-03-28온두라스가 CONCACAF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 준결승전에서 승리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16멕시코가 CONCACAF 올림픽 남자 축구 예선 준결승전에서 승리하여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5]


4. 총평[편집]



4.1. 유럽 예선[편집]


2000 시드니 올림픽 남자 축구 금메달리스트인 스페인이 2012 런던 올림픽 이후로 오랜만에 올림픽 본선 무대에 1위로 출전하게 되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남자 축구 은메달리스트인 독일은 2위로 출전한다. 월드컵에도 잘 나서지 못한 루마니아에게 올림픽 출전 기회가 주어졌으며, 지난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챔피언인 프랑스는 올림픽 제패에 나선다.

4.2. 오세아니아 예선[편집]


지난 올림픽 예선에선 뉴질랜드가 부정 선수로 실격당해 그 빈자리를 틈타 피지가 올림픽에 출전하였지만, 이번에는 이변 없이 뉴질랜드가 본선 티켓을 거머쥐었다.

4.3. 아프리카 예선[편집]


이집트가 1위로 올림픽 본선에 합류하며 모하메드 살라의 와일드카드 합류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아프리카 전통의 강호인 코트디부아르는 2008 베이징 올림픽 이후로 12년 만에 올림픽에 나선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지난 대회에 이어 2회 연속 올림픽 본선 무대를 밟게 되었다.

4.4. 아시아 예선[편집]


올림픽에 단골로 출전하는 일본이 올림픽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 티켓을 확보한 가운데, 대한민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결승 진출하여 올림픽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대한민국은 결승전에서 승리하여 사상 처음으로 AFC U-23 챔피언십에서 전승 우승으로 유종의 미를 거두었으며, 사우디아리비아는 결승전 이전까지 무패 행진을 이어오고 있었으나 대회 첫 패배를 결승전에서 당하며 준우승을 해 아쉬움을 남겼다. 결승전에 앞서 마지막 도쿄행을 결정지을 3위 결정전에서는 호주가 우즈베키스탄에 1:0으로 신승을 거두며 막차를 탔다.

4.5. 남미 예선[편집]


지난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가 이번 올림픽에도 출전하게 되었다.

4.6. 북중미 예선[편집]


북중미도 큰 이변없이 온두라스와 멕시코가 올림픽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15:45:47에 나무위키 2020 도쿄 올림픽/축구(남자)/지역예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특이하게 3·4위전을 치룬다.[2] 2020년 3월 13일에 시작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19로 연기[3]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보다 4시간 늦게 킥오프하여 경기를 먼저 마친 코트디부아르보다 늦게 올림픽 진출을 확정지었다.[4] 사우디아라비아의 경기보다 3시간 늦게 킥오프하여 경기를 먼저 마친 사우디아라비아보다 늦게 올림픽 진출을 확정지었다.[5] 온두라스의 경기보다 3시간 늦게 킥오프하여 경기를 먼저 마친 온두라스보다 늦게 올림픽 진출을 확정지었다.